카테고리

  • 전체기사
  • 인사이드
  • 시승리뷰
  • 신차공개
  • 자동차뉴스

Social Media

  • 인사이드
  • 시승리뷰
  • 신차공개
  • 자동차뉴스
Home  /   데일리 뉴스
데일리 뉴스

운전 중 스마트기기 사용률 여전히 높아...음주 운전은 절반 감소

2020-01-31 16:33:51
이다정 기자

[오토캐스트=이다정 기자] 국내 운전자 10명 중 4명이 운전 중 스마트 기기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는 ‘2019 교통문화지수 실태조사’ 결과를 31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 77.46점으로 전년(75.25점) 대비 2.21점 상승했으나 운전·보행 중 스마트기기 사용빈도나 규정 속도위반 빈도, 뒷좌석 안전띠 미착용률 등은 여전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통문화지수는 전국 229개 기초지자체 주민들의 교통안전 의식수준, 운전행태, 보행행태, 교통안전 등 18개 항목을 조사해 지수화한 값이다. 

항목별로 살펴보면 지난 30일간 운전 중 경험한 빈도를 설문으로 조사한 결과 운전자의 스마트기기 사용빈도 35.50%, 규정 속도위반 빈도 47.96%, 보행자의 무단횡단 빈도 32.20%로 나타났다.

반면 음주운전은 전년 대비 절반 수준으로 감소했다. 인명피해를 낸 음주운전자에 대한 처벌을 강화하는 일명 ‘윤창호 법’을 시행하면서 음주운전 빈도는 4.22%로 전년(8.84%) 대비 4.62%p 낮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국토교통부

이 밖에 횡단보도 정지선 준수율(78.62%), 방향지시등 점등률(73.37%), 이륜차 안전모 착용률(84.95%)은 전년 대비 소폭 상승했다. 다만 방향지시등 점등률은 70% 초반대로 비교적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안전띠 착용의 경우 도시부 도로 앞좌석(86.48%)의 안전띠 착용 수준은 비교적 높으나, 뒷좌석은 36.43%로 아직 미흡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11년 4월 전좌석 안전띠 의무화 이후 고속도로 안전띠 착용률은 앞좌석 95.5%, 뒷좌석 65%다. 

@국토교통부

시·도별로는 광주광역시가 1위(84.03점), 세종특별자치시, 제주특별자치도 순으로 교통문화지수가 상위로 나타났다. 충청남도, 부산광역시, 경상북도가 하위 지자체로 조사됐다. 울산광역시(79.29점)는 전년대비 순위가 가장 많이 상승(17→5위)했다.


그룹별로 1위 지자체는 인구 30만 명 이상인 시(29개)에서는 강원도 원주시(86.23점), 30만 명 미만인 시(49개)에서는 전남 광양시(86.61점)로 조사됐다. 군 지역(80개)에서는 충북 영동군(88.57점)이, 자치구(69개)에서는 광주 남구(86.82점)가 선정됐다.


전국 229개 지자체 중 ’19년도 교통문화지수가 큰 폭으로 향상된 지자체는 전라남도 무안군(67.72→81.54점, 군지역 상위 5%), 인천광역시 남동구(74.14→82.90점, 자치구 상위 10.14%), 경기도 안성시(71.31→83.33점, 인구 30만 미만 상위 12.24%)가 선정됐다.


국토교통부 어명소 종합교통정책관은 “교통문화지수가 매년 상승하고 있는 것은 교통안전에 대한 국민들의 전반적인 의식이 개선되고 있음을 의미”한다면서 다만 아직도 운전 중 스마트기기 사용빈도가 35.5%로 매우 높고 보행 중 스마트기기 사용빈도 역시 ‘18년에 비해 많이 줄어들지 않아 교통사고 우려가 크므로, 운전·보행 중에는 전방 주시와 안전거리 확보 등 안전운전 및 보행 수칙을 반드시 지킬 것을 강조했다.

dajeong@autocast.kr

Tags :  국토교통부  음주운전  스마트폰  스몸비  교통문화지수 

동영상

세단급 승차감, 프리미엄 하차감…BMW 4세대 신형 X3 시승기

BMW, 효율 높인 4세대 '뉴 X3' 출시

현대기아차, 무동력 웨어러블 로봇 '엑스블 숄더' 공개

최신뉴스

한국타이어, 스코다 첫 전기 SUV '엔야크 iV'에 신차용 타이어 공급

기아, 스타트업과 차량 간(V2V) 급속 충전 기술 검증 나선다

람보르기니, 2023 슈퍼 트로페오 아시아 시리즈 개최…한국서 4라운드 레이스 펼친다

오토캐스트 | 등록일자: 2019년 6월 11일 | 제호: 오토캐스트 | 발행, 편집인: 이다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이다정
발행소: 서울특별시 성북구 개운사길 57-3 3F 오토캐스트| 발행일자: 2017년 6월 1일 | 대표전화: +82 10 2967 7696
Contact us: press@autocast.kr
POWERED BY KOD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