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트로엥 영감의 원천은 ‘사람’과 ‘그들의 라이프스타일’이다. 이를 자동차 한 대에 어떻게 담을 것인가 고심했다. 1948년 정식 출시된 2CV가 대표적이다. 프랑스 농민을 위한 차량으로 50kg 하중으로 4인이 탈 수 있고 100km당 3~4리터를 소비할 것. 서스펜션은 달걀 하나도 깨뜨리지 않은 채 달걀 바구니를 걸고 운행할 수 있을만큼 매끄러울 것. 1936년 2CV를 만들기 위해 시트로엥 개발자들에게 주어진 임무였다.
이토록 구체적인 개발 목표 아래 등장한 2CV는 출시되자마자 농부들에게 인기를 끌었다. 밀짚모자를 쓰고도 타고 내릴 만큼 실내 공간이 여유로웠고, 지붕은 커다란 농기계도 자유자재로 실을 수 있도록 천을 말아올려 쉽게 열고 닫을 수 있었다. 매끄러운 승차감의 서스펜션 덕분에 울퉁불퉁한 시골길도 편하게 다닐 수 있었다. 여기에 그치지 않고 시트로엥은 시대가 변하면 변하는대로 그 시대의 현재를 자동차에 충실히 반영했다. 1970년대 중반에는 2CV가 젊은이들의 차량으로 자리매김하면서, 시트로엥은 값싸고 실용적인 것은 물론 다양한 색상 조합으로 개성까지 발휘할 수 있는 차로 만들었다.

이처럼 ‘사람들을 위한 자동차’라는 2CV의 콘셉트는 하나의 사회적 현상이 됐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1990년 판매가 중단될 때까지 이 차는 40년이 넘는 시간 동안 500만대 이상 판매됐다. 지금까지도 자동차 역사에서 상징적인 모델 중 하나로 남아 전세계 수집가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사실 우리나라에선 마주치기 힘든 차량이지만 여전히 프랑스 거리를 다니다보면 꽤 흔히 접할 수 있는 친근한 차다.

2CV 생산이 중단된지 30여년이 지난 지금, 사람들의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고민의 흔적은 시트로엥 막내 ‘C3 에어크로스’에도 고스란히 담겨있다. 다재다능한 도심형 데일리 SUV. 이 차의 콘셉트다. 시트로엥의 설명에 따르면 편안함은 물론 스타일과 실용성을 모두 중시하는 밀레니얼 세대의 요구를 반영했다. 이를 느껴보고자 시트로엥 C3 에어크로스를 타고 서울 도심에서 근교로 여행을 떠났다. 이 차와 어울릴 만한 여행 방식을 택했다. 짐을 가볍게 챙겨 피크닉을 떠났다. 이른바 카크닉(Car + Picnic)이다. 목적지는 경기도 포천시에 위치한 백로주 캠핑장이다.




지루할 틈 없는 디자인도 시트로엥만의 특징이다. 지난 2019년 국내 처음 출시됐던 차량임에도 우리나라 도로에서 자주 마주칠 수 없는 탓인지(?) 구식의 느낌이 없다. 캠핑장에 도착해 잔디밭 위에 놓인 차량을 살폈다. 캠핑장에 있는 자동차 중 제일 독특한 외모를 지녔다. 어느 곳을 둘러봐도 날 세운 곳 하나 없지만 동글동글 개성이 넘친다. 그러면서도 SUV 본질에 충실했다. 짧고 높은 보닛과 앞뒤로 붙은 스키드 플레이트, 커다란 휠하우스로 SUV 본연의 분위기를 강조했다. 여기에 LED 주간주행등까지 이어진 더블 쉐브론 엠블럼과 헤드램프, 3D 효과 리어램프, 둥근 사각형의 공기 흡입구로 시트로엥의 패밀리룩을 입었다.



그러면서도 제 본래 기능만 충실히 해내면 문제 없다는 듯 아날로그 계기판과 플라스틱 소재 위주의 대시보드와 실내 버튼 등에는 살짝 힘을 뺀 모습이다. 브라운팩을 선택하면 적용되는 가죽 시트는 아주 고급스럽진 않지만 오염 물질이 묻으면 쓱쓱 닦아낼 수 있는 부담없는 재질이다. 이염이나 주름 걱정 없이 편하게 사용하기엔 오히려 제격이다. 나머지 트림의 시트에는 모두 패브릭 소재가 적용된다.
시트로엥의 실내 공간은 늘 센스있고 영리한 아이디어로 가득하다. 시트로엥은 각 모델마다 가족 구성과 형태에 따라 시트 하단 서랍, 비행기 객실 스타일의 상단 수납 공간, 회전형 시트 등을 적용하고 있다. C3 에어크로스 역시 작지만 알찬 공간을 지녔다. 요즘 가구업계에선 취향과 라이프스타일에 맞게 변형하고 확장할 수 있는 모듈 가구가 유행이다. C3 에어크로스의 시트 활용도는 모듈가구와 비슷하다.




주행은 서울 성수동에서 경기 포천 백로주 캠핑장까지 왕복 120km 정도 달렸다. C3 에어크로스는 1.5리터 디젤 엔진과 6단 자동변속기가 맞물려 최고출력 120마력 최대토크 30.61kg.m를 발휘한다. 주행을 시작하면 작은 차체에 경쾌한 가속감과 움직임이 인상적이다. 일상 주행에서는 힘이 부족함을 느끼기 어려운 수준이다. 운전대는 가볍게 움직이는 편이며 조향 감각은 민첩하다. 다만 차체가 작은 데다가 디젤 엔진이기에 어쩔 수 없는 소음과 진동은 실내에 그대로 전해진다.

작고 높은 차체에도 승차감은 꽤 편안하다. 장애물을 만났을 때 불쾌한 움직임이 적다. 그동안 시승했던 소형 SUV 중 상위에 속한다. 편안한 승차감은 시트로엥이 모든 차량에서 추구하는 핵심 요소이기도 하다. C3보다 상위 모델인 C4나 C5에 들어간 프로그레시브 하이드롤릭 쿠션 서스펜션(시트로엥이 승차감을 위해 독자 개발한 서스펜션)이 들어가진 않았지만, 쇼파 쿠션같은 두툼한 시트가 편안한 승차감에 한 몫한다. 효율도 좋다. 서울과 포천을 오가는 동안 기록한 연비는 약 16km/l. 공인 연비(복합 14.1km/l (도심 13.4km/l 고속 15.1km/l)보다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도심 위주의 생활을 하면서 가끔은 멀리 떠나기도 하는, 1・2인 가구의 라이프스타일을 지닌 밀레니얼 세대에게 어울릴만한 개성 넘치는 선택지를 만났다. 광활한 공간과 첨단 사양 가득한 차도 물론 좋지만, 편안하면서도 개성 가득한 차를 만나보고 싶다면 시트로엥 C3 에어크로스는 어떨까.
dajeong@autocast.kr